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IT

(85)
에듀테크란? 에듀테크란?'에듀테크(EduTech 또는 EdTech)'는 교육(Education)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이다. 기존의 교육 방식에 인공지능(AI),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빅데이터, 사물 인터넷(IoT) 등 다양한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하여 교육 서비스를 개선하고 새로운 학습 경험을 제공하는 차세대 교육을 의미한다. 그리고 기술을 활용하여 교육의 질을 높이고 학습자 중심의 효과적인 학습 환경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에듀테크의 주요 특징개인 맞춤형 학습: AI 등을 활용하여 학생 개개인의 학습 수준, 흥미, 진도에 맞춰 최적화된 콘텐츠와 커리큘럼을 제공한다.학습 효율성 및 접근성 향상: 온라인 학습 플랫폼, 디지털 교과서 등을 통해 언제 어디서든 학습이 가능하게 하여..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클라우드 컴퓨팅이란?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은 인터넷(클라우드)을 통해 데이터 저장, 처리, 소프트웨어 실행, 네트워크 관리와 같은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물리적인 하드웨어나 직접 소프트웨어를 설치하지 않고도 원하는 컴퓨팅 리소스를 필요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 데이터 센터에 있는 강력한 서버에서 작업을 처리하며, 사용자는 단말기(PC, 스마트폰 등)를 통해 이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클라우드 컴퓨팅의 역사1960년대: 초기 개념 등장 John McCarthy: "컴퓨팅이 유틸리티처럼 제공될 수 있다"는 아이디어를 제안. 1990년대: 가상화 기술과 네트워크 발전 VMware 같은 가상화 기술의 발전으로 물리적 서버를 논리적으로 분할 가능. 2000..
엣지컴퓨팅이란? 엣지컴퓨팅이란?엣지 컴퓨팅(Edge Computing)은 데이터를 생성하는 장치나 시스템의 물리적 "가장자리(edge)"에서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는 컴퓨팅 모델이다. 이는 데이터 처리를 중앙 클라우드나 데이터 센터로 전송하지 않고, 네트워크의 말단(엣지)에서 처리함으로써 응답 속도를 높이고, 네트워크 트래픽을 줄이며, 실시간 데이터 처리가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의 요구를 충족시킨다.엣지컴퓨팅의 역사 엣지 컴퓨팅은 데이터 처리 방식을 중앙 집중식에서 분산 처리로 전환한 중요한 혁신이다. 이는 네트워크와 클라우드 인프라의 발전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특히 IoT와 5G, AI 기술과 결합하며 지속적으로 진화하고 있다. 향후 엣지 컴퓨팅은 스마트 기술의 필수 요소로 자리 잡을 것이다.초기 분산 컴퓨팅의 태동..
컴퓨팅이란? 컴퓨팅(Computing)이란?컴퓨팅(Computing)은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계산, 연산, 처리 과정을 수행하는 모든 활동을 의미한다. 이는 기계적 계산뿐만 아니라 정보 처리, 알고리즘 설계, 소프트웨어 개발 등과 같이 컴퓨터와 관련된 모든 작업을 포함하는 넓은 개념이다.컴퓨팅의 주요 개념정보 처리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처리하고, 결과를 출력하는 과정이다. (예: 텍스트 작성, 이미지 편집, 숫자 계산 등.)알고리즘 설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계된 단계별 절차로, 컴퓨터가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컴퓨터 시스템의 활용 컴퓨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다양한 작업을 수행한다. (예: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관리, 네트워크 연결.)컴퓨팅의 구성 요소하드웨어..
피지컬 컴퓨팅이란? 피지컬 컴퓨팅(Physical Computing)이란?피지컬 컴퓨팅(Physical Computing)은 컴퓨터와 디지털 기술을 이용하여 물리적 세계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하드웨어(예: 센서, 액추에이터)와 소프트웨어(예: 마이크로컨트롤러, 코딩)를 결합하여 사용자와 환경의 데이터를 수집, 처리, 반응할 수 있도록 만드는 기술 분야이다.피지컬 컴퓨팅의 역사피지컬 컴퓨팅의 역사는 컴퓨터와 물리적 세계의 상호작용을 탐구한 기술적, 예술적, 학문적 발전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이는 전자공학, 컴퓨터 과학, 인터랙티브 아트와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영향을 받아 발전해 왔다.초기: 컴퓨터와 하드웨어의 연결1950~1960년대초기 컴퓨터는 크고 복잡했지만, 엔지니어..
Git이란? Git이란?Git은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소스 코드의 버전 관리를 위해 널리 사용되는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DVCS)이다. Linus Torvalds가 2005년에 리눅스 커널 개발을 위해 만들었으며, 이후로 많은 오픈 소스 및 상업 프로젝트에서 표준 버전 관리 도구로 자리잡았다.Git의 역사Git의 역사는 2005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리누스 토르발스(Linus Torvalds)가 리눅스 커널 개발을 위해 만든 버전 관리 시스템이다. Git은 CVS와 Subversion(SVN)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설계되었으며,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DVCS)의 새로운 표준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Git은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의 대표적인 예로서, 소프트웨어 개발의 효율성과 협업을 크게 향상시켰다. 이를 통해 많..
SVN(Subversion)이란? SVN이란?SVN은 Subversion의 약자로,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에서 버전 관리 시스템으로 사용되는 도구이다. Apache Subversion이라고도 불리며, CVS(Concurrent Versions System)의 후속으로 널리 사용되었다. SVN은 프로젝트 파일 및 디렉토리의 버전 관리를 제공하여 개발자가 협력하고 소스 코드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다.SVN의 역사Subversion(SVN)의 역사는 소프트웨어 버전 관리 시스템의 발전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SVN은 CVS(Concurrent Versions System)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개발된 시스템으로, 더 나은 기능성과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SVN은 소프트웨어 버전 관리 시스템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
SBOM과 HBOM이란? SBOM란?SBOM은 Software Bill of Materials의 약자로,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 목록을 의미한다. SBOM은 특정 소프트웨어 제품에 포함된 모든 구성 요소, 라이브러리, 모듈 및 의존성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한다. 이 정보는 소프트웨어 개발 및 유지 관리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히 보안 및 규제 준수 측면에서 중요하다.SBOM 포함 정보소프트웨어 구성 요소의 이름 및 버전 각 구성 요소의 라이센스 정보구성 요소의 출처(예: 다운로드된 위치 또는 저장소) 각 구성 요소의 해시 값(무결성 검증을 위해) 구성 요소 간의 의존성 관계SBOM의 주요 장점보안 개선: 소프트웨어에 포함된 모든 구성 요소를 파악함으로써, 보안 취약점이 발견될 경우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투명성 증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