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보안

안티바이러스 및 PC 보안 용어 50선 (2)

반응형

네트워킹 보안 용어

액세스 제어

특정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참여를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라우터의 기능이다.

방화벽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를 제한하는 장치 또는 소프트웨어이다. 방화벽을 통해 들어오고 나가는 항목에 대한 권한을 설정할 수 있다.

라우터

네트워크의 액세스 및 트래픽 흐름을 관리하고, 네트워크 내의 컴퓨터에 주소를 할당하며, 네트워크 내의 시스템 간 연결 흐름을 지시하는 디바이스이다. 홈 라우터는 일반적으로 인터넷 서비스 업체의 모뎀에 연결되며 홈 네트워크 내의 디바이스가 서로 및 인터넷에 연결할 수 있는 중앙 허브 역할을 한다. 대부분의 라우터에는 외부 침입으로부터 네트워크를 보호하는 방화벽 및 액세스 제어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홈 네트워크를 완벽하게 보호하려면 라우터의 기능을 알아두는 것이 좋다.

인터넷 보안 용어

쿠키

웹사이트 등의 시스템에서 사용자를 식별하고 추적하기 위해 사용하는 데이터 파일로, 종종 해당 사용자와 관련된 구성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쿠키에는 사용자의 계정에 액세스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개인 식별 정보 및 세션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웹사이트 로그인을 활성 상태로 두면 세션 쿠키 데이터를 사용해 계정에 다시 액세스할 수 있다. 따라서 웹사이트 이용이 끝나면 의식적으로 로그아웃하면 이렇게 악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HTTPS

'S'는 안전하지 않은 일반 HTTP와 달리 신뢰할 수 있는 발급자의 서명된 인증서로 보호되는 연결을 나타낸다. 기본적으로 온라인 보안에 관심이 있다면 개인 데이터를 전송하는 모든 웹사이트의 주소가 HTTPS로 시작해야 한다.

인터넷 프로토콜(IP)

인터넷을 통해 컴퓨터를 연결하는 표준 방법으로, 각 시스템에는 IP 주소라고 하는 고유한 숫자 또는 영숫자 주소가 있습니다. IPv4의 경우, 192.168.1.72, Ipv6의 경우 2001:0db8:85a3:0000:0000:8a2e:0370:7334와 같은 주소를 사용한다. 현재 두 버전 모두 사용되고 있다. 일부 사이버 공격은 신뢰할 수 있는 출처에서 온 것처럼 보이도록 IP 주소를 변조한다.

SSL(Secure Sockets Layer)

디지털 서명 보안을 사용해 인터넷에서 신뢰할 수 있는 시스템을 식별하는 보안 표준이다. 웹사이트의 신원을 확인하기 위해 HTTPS에서 사용하는 표준이기도 하다.

비즈니스 보안 용어

최소 권한

보안을 손상시킬 수 있는 의도치 않은 구성 변경을 방지하기 위해 컴퓨터에 대한 관리자 액세스를 보류하는 등, 특정 시스템이나 사용자에게 필수 기능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만큼의 액세스 권한만 부여하는 보안 원칙이다. 기업 IT 환경에서는 이런 이유로 일반 사용자에게는 회사에서 발급한 PC에 대한 기본 액세스 권한만 부여한다. 가정에서도 자녀의 컴퓨터 설정을 제한하는 식으로 적용할 수 있다.

VPN(Virtual Private Network)

VPN은 인터넷을 통해 여러 대의 컴퓨터를 안전하게 연결하는 수단으로, 내부 네트워크처럼 동작하는 것이 특징이다. 많은 기업이 직원들에게 공개 인터넷이 아닌 VPN을 통해 민감한 시스템에 액세스하도록 요구한다. 가정에서도 VPN을 사용하면 웹 서핑을 할 때 개인 정보 보호 장치를 추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기타 중요한 컴퓨터 및 보안 용어

데몬(Daemon)

컴퓨터 시스템에서 자동화된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로 실행되는 프로그램. 대부분의 데몬은 양성이지만, 많은 멀웨어가 데몬을 추가해 사용자 활동을 모니터링하고 인터넷을 통해 해커의 지시를 기다린다.

암호 해독(Decryption)

일반적으로 보안 인증을 통해 암호화된 데이터 또는 텍스트를 읽을 수 있는 상태로 복원하는 작업이다.

허니팟(Honeypot)

공격자를 유인하고 함정에 빠뜨리기 위해 고의적으로 노출된 시스템으로, 겉보기에는 가치 있는 데이터로 가득 차 있다. 네트워크 관리자와 사법기관이 사이버 범죄자를 잡기 위해 허니팟을 사용하기도 한다. 현재 일부 가정용 보안 방화벽에는 허니팟 기능이 포함되어 있어 액세스 시도를 감지하고 침입자에게 경고를 보낼 수 있다.

평문(Plaintext)

암호화되지 않은 텍스트 콘텐츠. 암호화된 암호 텍스트와 반대되는 개념이다. 비밀번호와 같은 민감한 정보는 어떤 시스템에도 평문으로 저장해서는 안된다.

루트(Root)

맥OS나 리눅스 같은 유닉스 계열 운영체제의 핵심 관리자 또는 수퍼유저 계정이다. 대부분의 최신 유닉스 계열 시스템은 수퍼유저 기능에 대한 무단 액세스를 방지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루트 계정을 비활성화한다. 많은 사이버 공격의 목표는 루트 액세스 권한을 얻어 시스템을 완전히 장악하는 것이다.

스팸

원치 않는 메시지로, 주로 이메일을 통해 전달되지만 문자 메시지와 소셜 미디어에서도 점점 더 흔해지고 있다. 반드시 위험한 것은 아니지만 피싱 공격과 사기가 포함될 수 있다.

제로 데이(Zero Day)

새로운 취약점이 발견된 첫날로, 공격자가 취약점을 인지하고 사용자가 시스템에 방어 패치를 적용하기 전에 취약점을 악용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취약한 시기로 간주된다.

출처 : https://www.itworld.co.kr/news/327466?page=0,1#csidx1f3124241cd3e8bba40f55dba1327d6 

반응형

'IT > 보안' 카테고리의 다른 글

SIEM란?  (0) 2024.04.30
SOAR란?  (0) 2024.04.29
안티바이러스 및 PC 보안 용어 50선 (1)  (0) 2024.03.21
OWASP란?  (0) 2024.02.15
악성코드란?  (0) 2024.0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