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보안

IDS란?

반응형

IDS란?

IDS는 Intrusion Detection System의 약어로, 침입 탐지 시스템을 의미한다. IDS는 컴퓨터 네트워크 또는 시스템 내에서 발생하는 잠재적인 침입 또는 악성 활동을 감지하고 식별하는 시스템이다. 주요 목적은 네트워크 및 시스템 보안 사고에 대한 실시간 탐지와 대응을 제공하는 것이다.

IDS의 역사

IDS는 컴퓨터 보안 분야에서 중요한 도구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IDS의 역사는 다소 복잡하고 다양한 개발과 진화를 거쳤다. 다음은 IDS의 주요 발전 단계를 요약한 것이다.

  1. 1980년대: IDS의 초기 형태는 주로 시그니처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이는 특정 악성 패턴이나 시그니처에 일치하는 공격을 탐지하는 방식이다. 초기 IDS의 주요 목표는 시스템 로그를 분석하고 알려진 공격에 대응하는 것이었다.
  2. 1990년대: IDS의 발전과 함께 네트워크 트래픽 분석과 행동 기반 탐지 기술이 도입되었다. 이는 트래픽 패턴, 특정 프로토콜의 비정상적인 사용, 알려지지 않은 공격 패턴 등을 감지하기 위한 것이었다. Intrusion Detection Expert System (IDES)와 같은 인공지능(AI) 및 전문가 시스템 기술이 사용되기 시작했다.
  3. 2000년대: IDS는 더욱 정교한 기술과 방법으로 진화했다. 이 기간에는 실시간 트래픽 모니터링, 암호화된 트래픽 분석, 행동 분석 및 알고리즘 기반의 탐지 방법 등이 도입되었다. 이러한 발전은 네트워크 침입 탐지 시스템(NIDS)과 호스트 침입 탐지 시스템(HIDS)의 개발과 함께 이루어졌다.
  4. 현재: 현재의 IDS는 기계 학습 및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과 함께 발전하고 있다. 이제 IDS는 대규모 데이터 분석, 행동 패턴 학습, 알려지지 않은 공격에 대한 탐지 및 예방 등을 위한 고급 기술을 사용한다. 또한, 클라우드 기반 IDS와 같은 신기술이 등장하고 있으며, 다양한 보안 이벤트 및 위협 정보를 활용하여 보다 정확하고 효과적인 탐지를 수행한다.

전반적으로 IDS는 컴퓨터 보안의 중요한 부분으로 발전해 왔으며, 고급 기술과 방법론의 도입을 통해 보안 위협으로부터 시스템을 보호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IDS 작동 방식

IDS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작동한다.

  1. 트래픽 모니터링: IDS는 네트워크 트래픽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이상한 패턴, 알려진 악성 활동, 비인가된 액세스 등을 감지한다. 이를 위해 네트워크의 패킷을 분석하고 프로토콜을 이해하여 정상적인 동작과 비정상적인 동작을 구별한다.
  2. 이벤트 로그 기반 탐지: IDS는 시스템의 로그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상 징후를 식별한다. 예를 들어, 로그인 시도 실패, 악성 코드 실행, 시스템 파일 수정 등을 탐지할 수 있다.
  3. 시그니처 기반 탐지: IDS는 악성 활동의 특정 시그니처 또는 패턴을 감지하여 알려진 공격에 대응한다. 이를 위해 IDS는 사전에 악성 코드나 침입 패턴에 대한 시그니처 데이터베이스를 유지 관리한다.
  4. 행동 기반 탐지: IDS는 정상적인 시스템 동작을 학습하고 기록하여 비정상적인 행위를 식별한다. 예를 들어, 특정 파일에 대한 액세스 시도, 예상치 못한 네트워크 연결, 이상한 시스템 호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5. 알림 및 대응: IDS는 이상 징후를 탐지하면 보안 담당자에게 알림을 보내어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실시간으로 침입 사고에 대응하고 네트워크 또는 시스템 보안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IDS는 네트워크 및 시스템 보안을 강화하고, 침입 시도와 악성 활동을 조기에 탐지하여 보안 사고로부터 시스템을 보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반응형

'IT > 보안' 카테고리의 다른 글

UTM이란?  (0) 2023.06.05
IPS란?  (0) 2023.06.05
랜섬웨어란?  (0) 2023.06.01
DDoS란?  (0) 2023.06.01
DLP란?  (0) 2023.0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