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IT

(85)
DDoS란? DDoS란? DDoS는 Distributed Denial of Service의 약자로,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을 의미한다. DDoS 공격은 악의적인 공격자가 대상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에 대량의 트래픽을 동시에 보내어 해당 시스템의 성능을 악화시키거나 완전히 마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일반적으로 DDoS 공격은 다수의 컴퓨터 또는 장치인 좀비 컴퓨터 또는 좀비 봇넷(botnet)으로부터 오는 트래픽을 이용한다. 이 좀비 컴퓨터는 악성 소프트웨어에 감염된 정상적인 컴퓨터, 서버, IoT 장치 등일 수 있으며, 공격자는 이들을 원격으로 제어하여 공격을 실행한다. 이렇게 분산된 트래픽은 대상 시스템에 과부하를 일으켜 서비스 거부 상태로 만들 수 있다. DDoS의 역사 DDoS 공격은 인터넷과 컴퓨팅 환경의 ..
DLP란? DLP란? DLP는 Data Loss Prevention의 약자로, 데이터 유출 방지를 의미하는 보안 개념이다. DLP는 조직이 보유한 중요한 정보나 민감한 데이터가 무단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술적인 접근 방법이다. DLP 시스템은 조직 내부에서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고 감지하여, 데이터 유출이나 무단 사용의 위험을 최소화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러한 시스템은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추적하고 분석하여 비인가자의 데이터 접근이나 이동, 공유, 복사, 인쇄 등의 활동을 모니터링한다. 예를 들어, 신용카드 번호, 소셜 보안 번호, 의료 기록 등과 같은 민감한 정보가 이메일, 웹 사이트, 파일 공유 등을 통해 무단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방지한다. DLP 시스템은 정책 기반의 접근 제어,..
망분리란? 망분리란? 망분리(Network Segmentation)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여러 개의 독립적인 서브네트워크로 분할하여 보안과 네트워크 트래픽 관리를 강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망분리는 네트워크 내에서 서로 다른 보안 요구사항을 가진 시스템, 사용자 또는 리소스들을 논리적으로 격리시킴으로써 네트워크의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망분리의 역사 망분리는 네트워크 보안 및 성능 향상을 위해 오랜 기간 동안 적용되어 왔다. 다음은 망분리의 주요 발전 단계와 역사적인 이벤트이다. 초기 네트워크 분할 (1990년대): 초기에는 기업 내부의 네트워크를 주요 네트워크와 보조 네트워크로 분할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주요 네트워크는 중요한 시스템과 데이터에 액세스할 수 있는 권한을 갖추고, 보조 네트워크는 일반적인 작업에 사용되..
VPN이란? VPN이란? VPN은 가상 사설망(Virtual Private Network)의 약어로, 공용 네트워크(인터넷)를 통해 안전한 연결을 제공하는 보안 기술이다. VPN은 사용자 또는 조직이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안전하게 전송하고 접근할 수 있도록 해준다. VPN의 역사 VPN의 역사는 인터넷의 발전과 함께 진행되었다. 1990년대 초반 초기 VPN 개념이 탄생했다. 이 당시에는 사설 네트워크 간의 안전한 연결을 위해 전용 회선과 같은 비용이 많이 드는 솔루션들이 사용되었다. 1996년 PPTP (Point-to-Point Tunneling Protocol) 프로토콜이 개발되었다. PPTP는 터널링과 암호화를 통해 안전한 연결을 제공하였으며, 이후에는 Windows 운영체제에서 기본적으로 지원되었다. 19..
방화벽이란? 방화벽이란? 방화벽은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보안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 또는 소프트웨어이다. 방화벽은 네트워크와 외부 간의 통신을 모니터링하고, 허용되지 않은 액세스 또는 악성 행위로부터 네트워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방화벽은 네트워크의 경계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내부 네트워크로 들어오는 트래픽을 관리한다. 방화벽은 설정된 보안 정책에 따라 트래픽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며, 불필요한 포트나 프로토콜에 대한 액세스를 방지한다. 방화벽의 역사 방화벽은 컴퓨터 네트워크 보안을 위해 개발된 개념으로, 1980년대에 시작되었다. 1980년대 초기 방화벽은 패킷 필터링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트래픽을 제어했다. 이 방식은 패킷의 헤더 정보를 기반으로 트래픽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단순한 형태의 방화벽이었다..
ASIC이란? ASIC이란? ASIC는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약어로, 특정한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설계된 집적회로이다. ASIC는 개발자가 원하는 대로 설계되어, 제품의 목적에 따라 최적화된 성능과 전력 효율을 제공한다. ASIC는 사용자가 원하는 논리회로, 메모리, 안전 기능 등을 통합하여 하나의 칩으로 만든다. 따라서, ASIC를 사용하면 제품을 더욱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제작할 수 있다. ASIC는 매우 복잡하고 비용이 높은 공정을 거쳐 제작되기 때문에, 대량 생산이 필요한 제품에 적합하다. ASIC는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된다. 예를 들어, 디지털 신호처리, 데이터 변환, 통신, 음성 처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또한, ASIC를 사용하여 고도로 특화된 컴퓨..
FPGA이란? FPGA이란? FPGA는 Field-Programmable Gate Array의 약어로, 집적 회로(IC)를 사용하여 개발자가 자유롭게 프로그래밍할 수 있는 반도체 칩이다. 프로그래밍 가능한 특성으로, 다양한 전자 제품에 사용된다. FPGA는 고정된 하드웨어와 달리 소프트웨어와 유사한 방식으로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개발자는 필요한 기능과 로직을 FPGA 칩에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제품의 설계를 수정하거나 추가하는 것이 쉽다. 또한, FPGA를 사용하면 고성능 처리, 빠른 반응 속도, 저전력 소비 등 다양한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FPGA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된다. 대표적으로는 디지털 신호 처리, 네트워크 통신, 영상처리, 자동차 전자제어 등이 있다. 또한, 인공지능 분야에서는 G..
스마트팜이란? 스마트팜이란? 스마트팜은 정보통신 기술과 IoT, 빅데이터 등의 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농업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농업 혁신 기술이다. 스마트팜은 농작물의 재배부터 수확, 유통까지 모든 단계에서 IT 기술을 활용하여 생산성과 품질을 높이고 농작물의 손실을 최소화한다. 스마트팜 기술 구성요소 센싱 기술: 스마트팜은 농경지의 기후, 토양, 수분 등 다양한 정보를 측정하여 수집하는 센서 기술이 필요하다. 이러한 정보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농작물의 생육 상태를 예측하고, 적정한 작물 관리 방안을 제시하는 데 활용된다. IoT 기술: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기 위해 IoT 기술이 필요하다. IoT 기술을 활용하면 농작물 생육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동화된 농작업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

반응형